건강 / / 2021. 8. 12. 22:31

조현병 초기증상과 완치

정신분열증으로도 불리는 조현병에 대한 많은 오해와 선입견이 있습니다. 조현병의 초기 증상과 자가진단, 그리고 완치는 가능한 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조현병 초기 증상

조현병도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본격적으로 병이 시작되기 전에 초기 증상(또는 전조 증상)이 있습니다.

조현병의 초기 증상은 수면 장애, 불안, 잦은 분노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병이 더 진행이 되면 환각, 망상 등의 조현병의 본격적인 증상이 시작됩니다. 조현병은 초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보다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증상을 가볍게 여기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조현병은 10~20대의 어린 나이에 많이 발병하므로 해당 나이 때에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조현병 원인

조현병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에 모두 영향을 받습니다. 일란성쌍둥이의 조현병 발병률은 50%라고 합니다. 따라서 환경적인 요인이 영향을 끼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또한 부모 양쪽이 모두 조현병이 아닌 경우 발병률은 1%, 한쪽이 조현병일 경우 10%, 양쪽 모두 조현병일 경우 30~40%라고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유전적 영향 또한 영향을 끼친다고 결론 내릴 수 있습니다. 환경적인 영향은 극심한 스트레스나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조현병 테스트

아래 테스트는 조현병을 자가 진단할 수 있는 간단한 테스트 항목입니다. 아래 테스트는 간단한 자기 진단용으로만 유용하며 정확한 진단은 반드시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1) 나는 보이거나 들리는데 남들은 안보이거나 안 들린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2) 누군가 나를 미행하고 스토킹 하고 있으나, 남들은 아무리 말해도 믿지 않는다.

3) 작은 일에도 견딜 수 없을 만큼 불안할 때가 있다.

4) 타인과 사회적인 교류를 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느껴진다.

5) 식사나 수면 습관에 급격한 변화가 있거나, 식사나 수면을 잘하지 못한다.

6) TV를 보며 줄거리를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종종 있다.

7) 우울감이 사라지지 않으며 때때로 자살 충동이 생긴다.

8) 신체 활동이 내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고 경직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9) 가끔씩 찢어지는듯한 듣기 힘든 소리가 들릴 때가 있다.

10) 타인들과의 길거나 깊은 대화를 나누기 어렵다.

11) 신체 일부분이 지나치게 작게 보이거나 크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

12) 나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13) 나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

14) 실체를 알 수 없는 누군가가 나에게 말을 걸거나 명령을 내린 적이 있다.

15) 세상에는 나를 향한 내가 알 수 없는 큰 음모가 펼쳐지고 있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위 테스트는 나이 때 별로 결과가 다릅니다.

- 의심 위험
20세 미만 8개 이상 11개 이상
20세 이상 6개 이상 9개 이상
조현병 완치

조현병은 흔히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흔히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조현병은 치료가 가능한 병입니다. 다만, 완치의 개념이 아닌 유지관리의 개념이라고 보시는 것이 더욱 맞는 표현일 것입니다. 증상이 가라앉았다가도 조금이라도 약을 소홀히 복용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조현병은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조현병은 조기에 발견해 20대가 되기 전에 조기 치료를 하면 완치는 아니라 할지라도 충분히 일상생활이 가능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조기에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조현병 증상이 만성이 되어 치료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치료 시기에 따라 1~4기로 단계를 나눌 수 있는데, 4기로 갈수록 치료가 어려울 뿐 아니라 치료가 되더라도 후유증이 많이 남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암과 마찬가지로 말기로 갈수록 치료가 어렵고, 된다 하더라도 신체의 많은 부분에 후유증이 남는 것과 같습니다.

 

또한, 약물 치료를 통해서 조현병의 양성 증상(환창, 망상 등)은 1~2개월 내에 일상생활 가능할 정도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음성 증상(사회적 접촉 꺼림, 민감한 성격과 분노 짜증 등)을 고치기까지는 본인을 포함한 주변인들의 노력이 장기간 요구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뇌전증, 극복 가능합니다.  (0) 2022.08.02
비문증 원인,비문증 치료 그리고 비문증 영양제  (0) 2021.08.15
리플리 증후군의 모든 것  (0) 2021.08.04
뇌전증 전조증상  (0) 2021.07.31
피임약 복용법  (0) 2021.07.30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