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이란 뇌의 신경세포들이 전기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과도한 전기신호가 잘못 방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뇌전증은 간질이라고도 하며, 뇌신경세포의 전기신호 오 방출로 인해 과도한 흥분 상태로 인한 발작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현상이 만성적이고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뇌전증을 의심하고 전문의를 찾으셔야 합니다.
뇌전증은 우리나라 기준으로 인구비율 1000명당 약 3.8명이 앓고 있는 병이라고 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뇌전증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뇌전증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레 발작이 일어나기 때문에 사회생활이 힘들다는 점에서 아주 큰 고통입니다. 특히, 소아뇌전증의 경우 부모에게도 매우 큰 고통을 주게 됩니다. 많은 부모들이 소아뇌전증에 관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기에 정확한 판단에 도움을 드리고자 소아뇌전증의 전조증상, 원인, 치료, 보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소아뇌전증 전조증상
소아뇌전증의 증상은 뇌의 어느 부분에서 얼마만큼의 전기신호가 오방출 되느냐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멍한 표정과 가볍게 눈을 깜빡이거나 한쪽 팔만 본인도 모르게 계속 흔들거나 하는 정도일 수도 있고, 온몸이 뻣뻣해지고 거품을 무는 형태로 심각한 경우일 수 도 있습니다. 이때 공통적인 증상은 경련이나 발작을 하는 동안 의식이 소실된다는 점입니다.
소아뇌전증의 가장 대표적인 초기 전조증상은 약 5초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잠깐씩 의식이 소실되는 것이 반복되는 증상입니다. 아주 짧은 시간이기에 정신차리고 난 뒤 아무렇지 않게 하던 일을 하게 되므로 주변 사람은 알아채기 힘들 수 있습니다. 또한, 잠이 든 직후나 깬 직후 입 주변을 포함한 얼굴 주위의 감각이 무뎌지거나 경련이 있는 증상입니다. 이 경우도 아이들은 그냥 울고 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가 눈치채기 힘들 수 있습니다.
★열성 경련(과도한 신체 발열로 인한 경련)과 소아뇌전증과의 차이점★
열성 경련은 생후 6개월에서 2년까지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열성 경련은 보통 5분 이내에 진정이 되며 양 팔과 다리를 포함한 온몸에 경련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한쪽 팔만 까딱거리거나 한쪽 눈만 과도하게 깜빡거린다든가 하는 부분 경련이 있을 경우, 그리고 열없이 발작하는 경우 소아뇌전증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열성 경련이 5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소아뇌전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2. 소아뇌전증 원인
소아 뇌전증은 선천적, 후천적 원인이 모두 있습니다. 또한, 아직 현재 뇌의학과 신경의학으로는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선천적인 원인으로는 태아 상태일 때의 영양 불균형, 선천성 기형, 미숙아 분만, 유전 등이 있습니다.
후천적인 원인으로는 외상으로 인한 손상, 뇌염, 뇌수막염, 기생충 감염, 출산 시의 합병증, 출산 중 뇌에 공급되는 산소 부족, 저칼슘증, 저혈당증, 과도한 신체발열 등이 있습니다.
3. 소아뇌전증 치료
소아뇌전증의 치료는 주료 약물적 치료로 진행되며, 약물이 효과가 없는 일부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합니다. 꾸준히 약물 치료를 한 약 30% 정도의 환자는 완치가 가능하며, 약을 끊은 이후에도 재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소아뇌전증은 완치 가능한 질병입니다. 하지만, 잦은 발작으로 뇌손상이 많이 진행이 된 상태에서 병원을 방문하게 되거나 의사의 판단 없이 약을 끊거나 한 경우에는 완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소아뇌전증 보험
과거에는 뇌전증 전용 보험이 없어서 실비 보험에 의존하거나, 가입시 뇌전증 유병 사실을 숨기고 가입하여 고지의무 위반으로 계약 해지 당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2018년 한 보험사에서 한국뇌전증협회와 협약을 맺고 뇌전증 환자들을 위한 보험을 출시했습니다. 소아 뇌전증을 앓고 있는 아동의 부모님들께서는 꼭 아이의 소아뇌전증 보험 가입해주셔야 합니다. 아래 링크 확인 후 해당 보험사에 가입해주시면 됩니다.
m.healthcaren.com/news/news_article_yong.jsp?mn_idx=234821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효과, 후기 (2) | 2022.09.17 |
---|---|
조코바 (먹는 코로나 치료제) 모든 정보 (0) | 2022.09.16 |
비문증 원인,비문증 치료 그리고 비문증 영양제 (0) | 2021.08.15 |
조현병 초기증상과 완치 (0) | 2021.08.12 |
리플리 증후군의 모든 것 (0) | 202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