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 / 2021. 7. 8. 07:35

코로나 델타변이 바이러스 증상/치사율/치명률/백신 총정리 (feat.델타변이 플러스)

인도에서 변이 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지난해 10월 처음 인도에서 보고되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급속하게 전파되고 있습니다.

7월 6일 발표된 중대본 발표에 따르면, 최근 1주 동안 추가로 확인된 바이러스 유형에서 영국발 알파형(168명)에 이어 2위를 인도발 델타형(153명)이 차지했습니다. 7월 7일 기준 확진자가 1200명대로 급격히 증가했음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현재 가장 확산된 코로나 바이러스 유형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봐야 할 겁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란?

바이러스는 세포를 감염시키며 자기 복제를 하는데 이때 가끔씩 복제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영국발 알파 변이, 남아공발 베타 변이, 브라질발 감마 변이에 이어 인도발 변이 바이러스가 델타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특히,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세계 80여 개 나라로 퍼진 상태며 WHO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향후 세계적인 지배 종이 될 것이라 말한 바 있습니다.

(참고:WHO가 21년 6월 1일부로 감염병에 지역명을 붙이지 않고 그리스 문자를 활용해 새 명칭을 붙이기로 했습니다. 우한 바이러스를 코로나 바이러스로 명명한 것과 같은 맥락이죠)

 

 

#델타 변이 바이러스 증상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의 코로나 바이러스들과는 다른 증상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팀 스펙터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대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주요 증상은 두통, 인후염, 콧물이라고 합니다. 이는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인 기침과 고열, 후미각 상실과는 확연히 다른 증상입니다. 때문에 코로나 방역체계의 무력화를 야기할 수 있다고도 보입니다. 

또한, 무증상의 비율이 적어 감염자가 폭증할 경우 의료시설의 과부하로 인한 방역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 재생산지수 (감염력)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 재생산지수는 5~7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1명의 감염자가 5~7명에게 바이러스를 전파시킨다는 뜻입니다. 19년 12월의 최초 바이러스는 1.4~3.3, 알파 변이 바이러스는 3.2~4.5 수준이라고 합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은 이전과는 비교가 안 되는 수준입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 치사율

바이러스는 변이를 거듭하며 감염력은 높아지지만, 치명률은 떨어진다고 합니다. 아직까지는 데이터가 많지 않아 정확한 치명률은 알 수 없지만, 바이러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르면 치명률이 낮아질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이죠. 하지만 기저질환이 있거나 면역이 약한 사람에게는 이전 바이러스들과 동일하게 위험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 백신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도 다행히 백신은 효과가 있습니다. 각 백신 제조사의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스트라제네카 : 1차 접종 시 33%, 2차 접종 시 59.8% 예방 효과
  • 화이자 : 1차 접종 시 33%, 2차 접종 시 87.9% 예방 효과
  • 모더나 : 항체가 2.1배 줄었지만 예방에 충분
  • 얀센 : 남아공발 베타 변이보다 높은 면역반응 나타냄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가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데 반해, 모더나와 얀센은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지 않고 대충 얼버무리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또한 아스트라제네카는 59.8%까지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유통되는 백신은 우한에서 발생한 최초 바이러스로 만든 약이기 때문에, 변이가 나올수록 바이러스 식별이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변이 바이러스가 나올수록 백신 예방 효과가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이죠. 백신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변이 바이러스가 나오기 전에 접종을 하루빨리 서둘러야 하겠습니다. 

#델타 변이 플러스

현재 인도에서는 델타 변이에 이은 델타 변이 플러스 바이러스도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아직까지 데이터가 많지 않아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바이러스의 변이 방향에 따르면 델타 변이 바이러스보다 감염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백신이 델타 플러스에도 효과를 작용할지 의문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리 증후군의 모든 것  (0) 2021.08.04
뇌전증 전조증상  (0) 2021.07.31
피임약 복용법  (0) 2021.07.30
이석증에 좋은 음식 추천  (0) 2021.07.25
람다 변이 바이러스  (0) 2021.07.14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