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페루발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남미를 거쳐 미국, 유럽에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전 세계가 휘청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끝없는 신종 변이 바이러스 소식은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에 접어들었음을 직감하게 만듭니다.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아직까지 '우려 변이' 단계는 아니고 '관심 변이' 단계이지만 확산 속도를 본다면 '우려 변이'로 가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입니다. 이제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들과 어떻게 다른지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치명률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최초 발생한 페루에서 람다 변이 바이러스의 치명률은 9.3%에 달합니다. 100명 중에 9명이 사망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주변 국가인 칠레는 2.14%, 아르헨티나는 2.16%, 에콰도르는 4.6% 수준입니다. 이를 봤을 때 바이러스 그 자체의 치명률과 더불어 해당 국가의 의료 인프라가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치명률:감염자 수 대비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비율
#감염 재생산지수(감염력)
람다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은 데이터 부족으로 아직 정확히 측정된 바 없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변이가 일어날수록 점점 더 감염력이 강한 바이러스가 나왔던 것을 되돌아봤을 때, 델타 변이 바이러스보다 더욱 강한 감염력을 가질 것이라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백신 무력화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중국산 백신인 시노팜 백신을 주로 접종한 남미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칠레는 인구의 약 60%가 시노팜 백신을 접종 완료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확진자의 1/3이 람다 변이 감염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람다 변이 바이러스가 백신을 무력화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생기고 있습니다. 아스트라 제네카, 모더나, 화이자 등 다른 백신은 람다 변이에 효과를 작용할지는 아직 연구 중이라고 합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화이자 등의 주요 백신들의 코로나 예방 효과가 무력화될 때는 정말 절망적인 상황에 처할 것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리 증후군의 모든 것 (0) | 2021.08.04 |
---|---|
뇌전증 전조증상 (0) | 2021.07.31 |
피임약 복용법 (0) | 2021.07.30 |
이석증에 좋은 음식 추천 (0) | 2021.07.25 |
코로나 델타변이 바이러스 증상/치사율/치명률/백신 총정리 (feat.델타변이 플러스) (0) | 2021.07.08 |